Record Bank

2021년 OECD국가 자살률순위

한국사회에서 출생률과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중 하나가 바로 자살률이다. 최근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2년 현재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25.2명 의 자살률을 기록해 앞도적인 OECD국가내 1위를 차자하였다. 아래표는 OECD내 다른 나라와 비교를위해 2021년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No.국가명
자살률
1Argentina6.6
2Australia12.4
3Austria11
4Brazil6.9
5Bulgaria7.6
6Canada10.5
7Chile8.4
8Colombia5.6
9Costa Rica7
10Croatia12.4
11Czechia11.1
12Denmark9.6
13Estonia13.6
14Finland12.9
15Germany9.7
16Greece3.9
17Hungary14.8
18Iceland10.2
19Israel5.7
20Japan15.4
21Korea24.1
22Latvia12.7
23Lithuania18.5
24Luxembourg5.4
25Mexico6.3
26Netherlands10
27Peru1.8
28Poland11.5
29Portugal8.4
30Romania8.6
31Russia11.7
32Slovak Republic6.6
33Slovenia15.7
34Spain7.6
35Switzerland10.6
36Türkiye4.4
37United Kingdom8.4
38United States14.1

한국사회가 높은 자살률을 만들어 내는 이유

사회적 압력: 한국 사회는 고도로 경쟁적이고 성과 중심적이다. 과도한 경쟁과 성공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개인들은 스트레스를 받고 자살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태도: 한국에서는 정신 건강에 대한 개념이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인 배려와 이해를 받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자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회적 고립: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가족이나 직장과의 관계가 떨어진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사회적 고립은 자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경제적 어려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은 자살을 선택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특히 고용 부족과 경제 불안이 심각한 경우에는 자살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OECD란

OECD는 1961년에 설립된 국제기구로, 창립 목적은 경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추진하고 회원국 간의 경제정책 조정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원국들은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