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rd Bank

붕당정치의 출현배경과 과정

조선시대에서 붕당(朋黨)정치는 주로 학연과 지연을 바탕으로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이들이 국가의 공식조직과는 달리 사적으로 결성한 집단이 자신의 집단의 이념적 소신과 이익을 관철시키고자 노력하는 정치 행위를 의미한다. 선조 이전의 붕당정치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었어나 정치적 기반이 약했던 선조가 사림들을 중용하면서 사림들의 붕당은 세력이 점점 강해졌고 초기에 이조전랑 관직을 두고 다투게 된것을 계기로 각종 대소사에서 몇 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대립하였으며, 이와 같은 대립과 권력 쟁취 경쟁을 당쟁이라고 불렀다.

조선시대 붕당정치의 학문적 기원

왕권 강화의 목적으로 선조때 시작된 사림의 붕당정치는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때까지 이어지며 탕평정책의 시행으로 활발한 붕당활동의 시대는 끝이 나지만 붕당의 맥은 영조 정도때까지 유지되며 특정가문과 세력의 세도정치가 시작될때까지 이어진다. 학연과 지연을 중심으로 성리학과 주자학으로 논쟁을 하던 붕당은 점차 권력쟁취라는 목적으로 변질되었다.

붕당정치의 전개도

※각 항목을 클릭하면 상세내용을 볼 수 있어요.

서인
동인
북인
남인
북인
남인
서인
남인
서인
남인
서인
노론
소론
벽파
시파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주요사건
집권당
비 집권당
권력의 이동

붕당정치 시대의 주요 사건

이조전랑자리문제

명종이 후계자 없이 죽자 조선 최초로 방계가문인 선조가 즉위하여 왕통을 계승하게 되었다. 그렇기에 약했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세력에 대항코자 다시 사림들을 중용하게 되었다. 사림들 사이에서 평판이 높았던 김효원과 명종의 처남인 심의겸이 이조전랑 자리를 놓고 대립하면서 붕당 정치가 시작된다.

이조전랑이란 정5품 관직인 이조정랑과 정6품 관직인 이조좌랑을 함께 부르는 말로써, 각 부서의 관직 천거권과 재야인사의 추천권을 가지고 있어 품계는 낮았으나 이처럼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핵심요직 이였다.

기축옥사

기축옥사는 조선 선조 때 발생한 옥사로,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약 3년간 정여립과 연루된 사람중 80명이상이 고문을 당하고 천명이상의 동인과 관련자가 희생된 사건이다. 기축옥사는 조선시대 역모사건중에 희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사건 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사건의 진실이 무엇인지, 아직까지 제대로 밝혀진 것은 없다.

임진왜란

임진왜란 이전에 남인에게 밀려났으나 전란중에 북인에서 의병장을 다수 배출하며 인조에게 선조을 받아 정계의 주도권을 획득하게 되었다.

인조반정

실각한 남인과 손잡고 계획한 인조 반정으로 세력을 회복하고, 반정에 가담한 서인을 공서, 가담하지 않은 서인을 청서라 하였다. 이때 공서는 김류, 최명길, 신경진, 이서, 구굉, 김자점 등이었다. 그 뒤 숙종 대까지 남인과 병존하며 정국을 안정시키는 데 공헌하였다.

1차예송

1차 예송(기해예송)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이 사망하자 자의대비가 계모로서 상복을 몇 년 입어야 하느냐로 벌였던 논쟁이다. 인조반정과 소현세자의 죽음등 효종과 현종의 정통성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다. 결과적으로는 서인이 이기지만 현종에게 서인을 멀리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다.

2차예송

2차 예송(갑인예송)은 자의대비가 시어머니로서 상복을 몇 년 입어야 하느냐로 벌인 서인과 현종 간의 논쟁이다. 1차 논쟁 때 서인들이 이겼지만 이번에는 현종의 논리에 논파되고 정권을 내놓는 것은 물론, 송시열까지 도태되는 대사건으로 이어져 현종이 서인을 숙청하고 남인을 등용하게 된다.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경신출척이라고도 불리는데, 경신환국으로 인해 남인 정권이 붕괴되고 서인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기사환국

기사환국때 서인이 제기한 원자 문제를 빌미로 숙종이 서인의 횡포를 억누르고자 서인을 실각시키고 남인들을 다시 중용하게 된다.

갑술환국

갑술환국은 갑술옥사라고도 불리는데 숙종이 장씨를 희빈으로 책봉하고, 그 뒤에는 왕후의 자리에 올렸지만, 장씨의 거동이 매우 방자했으므로 숙종은 이에 대항해 인현왕후를 복위시키고, 남인들을 퇴출한다. 이로 인해 서인들은 다시 재집권을 하게 된다.

정미환국

정미환국때 영조는 당파심이 매우 강한 자들을 숙청하기 위해 탕평책을 추진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서인에서 분파한 소론은 실각하지만, 또 다른 서인인 노론은 계속 집권한다.

영조사후 사도세자의 처리

사도세자의 죽음 이후 이 문제를 둘러싸고 기존 붕당의 경계선을 초월하고 사도세자를 동정하고 그 아들인 정조의 정책에 편승하는 부류라를 시파라 하고 그대 반대되는 세력을 벽파라고 불렀다. 시파는 소론과 남인 그리고 일부 노론으로 구성되었으며 벽파는 주로 노론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4색당파(남인,북인,노론,소론)

선조때에 이조전랑 자리를 두고 동인과 서인으로 분쟁하였는데, 그 후에 실권을 쥔 동인 가운데서 기축옥사와 임진왜란을 거치며 북인과 남인이 또 분쟁하였다.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권력을 잡았으나, 숙종때 이르러 소론과 노론으로 분리되었다. 이밖에 대북과 소북, 청남과 탁남등 많은 그룹으로 분파하나 대표적인 붕당인 남인,북인,노론,소론을 4색당파라고 한다.

참고문헌

  • 조선왕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