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rd Bank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이승만

1대
1948/07/24 ~
1952/08/14
국회 간선
180표(91.8%)
1948/07/20
2대
1952/08/15 ~
1956/08/14
직선
5,238,769표(74.6%)
1952/08/05
3대
1956/08/15 ~
1960/04/27
직선
5,046,437표(70%)
1956/05/15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대 대통령으로, 대한민국 재건과 안정을 위해 힘쓴 인물이다. 그는 1948년 대한민국의 수립과 함께 대통령으로 취임하였으며, 당시 난잡한 정세에서 국가를 안정시키고 경제 발전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그의 통치는 독재적인 면모를 드러내며 민주주의와의 불화를 일으켰고, 1960년 4월 19일 학생 시위와 민심 반발로 인해 대통령직에서 사퇴하게 되었다. 그의 행적은 찬반 여론을 일으키며 엇갈린 평가를 받고 있다.

윤보선

4대
1960/08/12 ~
1962/03/22
국회 간선
208표(79.1%)
1960/08/12
윤보선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 4대 대통령이자, 두번째 대통령으로, 1960년 4월 혁명으로 인해 대통령으로 선출됐다. 그는 국가 재건을 위해 고군분투하며 기업 인센티브 정책과 경제 개방을 추진하였으며, 농지개혁과 민주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그의 정부는 민주주의에 대한 우려와 불안을 불러일으켜 1961년 5월 군사정변으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행적은 역사적으로 중요하나 평가는 분분하다.

박정희

5대
1963/12/17 ~
1967/06/30
직선
4,702,640표(46.6%)
1963/10/15
6대
1967/07/01 ~
1971/06/30
직선
5,688,666표(51.4%)
1967/05/03
7대
1971/07/01 ~
1972/12/26
직선
6,342,828표(53.2%)
1971/04/27
8대
1972/12/27 ~
1978/12/26
대의원 간선
2,357표(99.9%)
1972/12/23
9대
1978/12/27 ~
1979/10/26
대의원 간선
2,577표(99.8%)
1978/07/06
박정희 대통령은 대한민국 5대 대통령이자 세번째 대통령으로, 1961년 군사정변으로 대통령이 된 뒤 경제개발에 주력하여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다. 그는 효율적인 개발체제를 구축하고 농촌, 무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었으나, 독재적인 통치와 인권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1979년 물밑에서 일어난 정치적인 사태로 생을 마치며 미래에 대한 평가는 복합적이다

최규하

10대
1979/12/06 ~
1980/08/16
대의원 간선
2,465표(96.3%)
1979/12/06
최규하 대통령은 대한민국 10대 대통령이자 네번째 대통령으로 1979년 발생한 군사정변으로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경제 개방 정책과 과학기술 발전에 주력했으며, 농촌 개혁과 교육 개선에도 힘썼습니다. 그러나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고 민주주의와 인권 문제에서 논란을 빚었다. 결국 군사쿠테타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면서 그의 행적은 평가가 갈린다.

전두환

11대
1980/08/27 ~
1981/02/24
대의원 간선
2,524표(99.4%)
1980/08/27
12대
1981/02/25 ~
1988/02/24
선거인단 간선
4,755표(90.1%)
1981/02/25
전두환 대통령은 대한민국 11대 대통령이자 다섯번째 대통령으로,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며 군사정권을 유지했다. 경제 발전에 힘써 노사관계를 강조하며 고용률 상승과 경제 성장을 이뤄냈지만, 독재적인 통치와 인권 침해로 논란을 일으켰다. 1987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면서 정치적 평가가 혼재된다.

노태우

13대
1988/02/25 ~
1993/02/24
직선
8,282,738표(36.6%)
1987/12/16
노태우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으로, 1987년 민주화운동 뒤 처음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다. 그는 경제 개방과 무역 확대로 한강의 기적을 이어갔으며,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등 국제적인 평화와 안보를 강화했다. 그러나 노태우 대통령은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군사정권의 일원으로 활동하여 인권 문제와 논란이 있었다. 그의 행적은 성과와 논란이 공존하는 복합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김영삼

14대
1993/02/25 ~
1998/02/24
직선
9,977,332표(42%)
1992/12/18
김영삼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으로, 첫 비 군인출신 대통령이다. 그는 금융실명제등 경제개혁과 민주주의 강화에 힘썼으나,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대처에 미흡하여 IMF관리체제로 들어가는등 사회적 불안 또한 야기하였다. 그의 행적은 성공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여 평가가 갈리고 있다.

김대중

15대
1998/02/25 ~
2003/02/24
직선
10,326,275표(40.3%)
1997/12/18
김대중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으로, 1998년 민주주의 정착을 위해 선출되었다. 그는 선진화 정책을 통해 정보통신과 IMF극복 등 경제 발전에 주력했으며, 남북 관계 개선과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으로 역사적인 평화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러나 카드대란등 경제적인 문제와 함께 국정 운영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김대중 대통령은 남북 평화 과정에서 기여하며 국내외에서 평가를 받아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노무현

16대
2003/02/25 ~
2008/02/24
직선
12,014,277표(48.9%)
2002/12/19
노무현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으로, 2003년 민주당 출신으로 당선되었다. 그는 중도 개혁을 내세워 사회적 불평등 감소와 기업 경영 개선을 추진했으며 낮은 대통령으로 국민과 소통에 힘을 쏟았다.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6자회담을 주도하며, 2007년 평양 선언에 서명하여 남북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국정 논란에 시달리며 헌정사 최초로 탄핵이 되는등 과정을 험난했고, 퇴임후 검찰의 무리한 수사로 자살했다.

이명박

17대
2008/02/02 ~
2013/02/24
직선
11,492,389표(48.7%)
2007/12/19
이명박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으로, 2008년 선출되었다. 그는 4대강 사업을 필두로 건설 산업과 중소기업 지원에 주력했다. 경제 성장과 국제적 명성을 증진하였지만, 그의 대통령 임기 동안 부동산 가격 상승, 정부 비리 의혹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2018년에는 뇌물 혐의로 수감되어 여러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의 행적은 성과와 논란이 교차하며 평가되고 있다.

박근혜

18대
2013/02/25 ~
2017/03/10
직선
15,773,128표(51.6%)
2012/12/19
박근혜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으로, 2013년 선출되었다. 그녀는 국가안보 강화와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삼았으며, 국제사회에서의 역할도 중요시했다. 그러나 그녀의 대통령 임기 동안에는 기업 뇌물 사건 등으로 인한 논란과 함께 지지율이 4%로 떨어지는등 최종적인 탄핵으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이로 인해 그녀의 행적은 긍정적인 성과와 부정적인 측면으로 복합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문재인

19대
2017/05/10 ~
2022/05/09
직선
13,423,800표(41.1%)
2017/05/09
문재인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으로, 2017년 선출되었다. 그는 사회적 평등과 공정을 강조하며 국내외에서의 평화와 협력을 추구하였다. 경제민주화, 코로나 대응, 남북관계 개선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부동산 가격상승으로 빈부격차, 사회갈등이 심화되어 현재까지의 행적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윤석열

20대
2022/05/10 ~
직선
16,394,815표(48.6%)
2022/03/09
현직 대통령으로 평가는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