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정치제도
고려의 정치제도는 크게 중앙정치조직과 지방정치 조직으로 2원화 되어 있다는점에서 조선에 비해서 체계적이지 못하며 , 신라에 비해서도 후퇴했다는 평을 받는다.
고려 중앙 정치 기구 구성
※각 항목을 클릭하면 상세내용을 볼 수 있어요.
고려왕조 중앙 정치 기구의 역활
고려왕은 고려시대 정치를 관장하는 최고 정치기구이다.
도병마사(都兵馬使)는 고려시대의 군사 기구로서, 지방 도서(도, 부, 향)에서 관리되는 지방군을 지휘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맡은 기관이다. 이 기관은 군사 행정을 담당하며 도서(지방 행정 구역)에 상주하여 지역의 안전과 군사력 유지를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도병마사는 특히 지방의 안전과 군사적 요충지에서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그들은 도서의 군사적인 일을 총괄하고, 필요에 따라 지방군을 훈련시키고 지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지방에 발생할 수 있는 내란이나 외적 위협에 대비하여 군사력을 유지하고 지휘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도병마사는 도서장(도, 부, 향을 통치하는 책임자)와 협력하여 지방 안전을 유지하고 군사적인 도전에 대응했다. 이러한 지방 군사 조직은 고려시대에 지방 행정과 군사 수호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식목도감(食貌都監)은 고려시대의 행정 기관으로서, 음식의 생산과 관리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한 기관이다. 이 기관은 고려시대에 농업 및 식량 관리를 감독하고, 국가의 식량 안정을 위한 정책을 수립했다.
식목도감은 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담당했는데, 주로 농업과 관련된 일들을 중심으로 했다.
중서문하성(中書文化省)은 중앙 행정부의 일환으로서 문하성(文化省)이라고도 불린며 문화 및 교육에 관련된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중추원(中樞院)은 국가 행정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한 중앙 행정 기관이다. 중추원은 중앙 집권 체계의 핵심이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앙 행정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상서성(上書省)은 정치적인 의견이나 제안, 건의사항 등이 중앙 정부에 상서(上書)되어 제출되는 행정기관이다. 상서성은 중앙 행정의 의사 전달과 문서 작성, 제출에 관련된 주요 임무를 수행했다.
어사대(御史臺)는 중앙 정부의 감찰 기관으로, 국가의 행정·사법 부분에 대한 감찰과 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어사대는 특히 왕실의 명을 받아 국가의 정치적·행정적인 불법 행위나 부정부패를 조사하고 신하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국가의 정치적 투명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조직 중 하나였으며, 어사대에서 활동한 어사(감찰관)들은 신뢰성 있고 정의로운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고려시대의 삼사(三司)는 중앙 정부의 중요한 행정 기관으로서 국가의 재정, 인사, 군사를 관리하고 책임지는 세 부처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삼사는 국가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며 중앙 행정을 담당했으며, 이조, 향균, 내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부(吏部)는 인사와 내정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부처이다.
관직 임명, 간부의 진급과 감봉, 형벌 등 인사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했다.
병부(兵部)는 군사와 군대를 관리하는 부처이다.
군대의 편성, 훈련, 군사적 사안을 관리하여 국가의 안전을 유지했다
호부(戶部)는 인구와 세대 관리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부처이다
인구 조사, 세금 정책, 농민 복지 등을 책임지고 국가의 농업과 경제를 지원했다
형부(刑部)는 법률과 형벌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부처이다.
법률의 제정과 행정, 형벌의 집행 등을 관리하였다.
예부(禮部)는 예절과 의례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부처이다.
국가의 의례, 예절, 풍속 등을 관리하며, 국가의 문화와 윤리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공부(工部)는 기술과 공업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부처이다..
건축, 공사, 기계, 기술 발전 등을 총괄하여 국가의 기술적인 발전을 지원했다.